출처: https://blog.iroot.kr/341 [RootKR] 출처: https://blog.iroot.kr/341 [RootKR]

오늘 리뷰할 위스키는 싱글몰트 스카치 위스키 종류인 글렌피딕 12년이다. 

 

이마트는 내 지갑을 항상 털어가는 것 같다. 

 

영롱한 모습이 보이길래 무심코 집어왔다. 

 

삼각형 모양의 병 디자인이 특이하다.

위스키 입문용으로 많이 추천한다고들 하는데 궁금하여 집어들었다.

 

(아니 입문용이 무슨 6만 원대...)

 

그럼 바로 시음기로 들어가 보자.

 

 

코르크에선 산뜻하고 시트러스 한 향이 난다. 

 

먼저 글랜케런 잔에 따라보았다. 

 

색은 밝은 톤이 띈다. 

 

알콜 부즈도 잘 느껴지지 않는다. 

 

집중해서 향에 집중해 보니 살짝 꿀 향과 사과향, 신맛의 느낌이 느껴진다. 

 

마셔보았다. 

 

목 넘김은 부드럽고, 단맛과 고소함이 돌며 특별한 향은 느껴지지 않는다. 

 

바디감은 미디엄 라이트 한 편이다. 

 

목에 화함이 오래간다. 

 

계속 마시다 보니 살짝 나무 계열의 향도 난다. 

 

마시고 콧구멍으로 공기를 내뿜었을 때 확실하게 나무 계열의 냄새가 난다. 

 

캠핑할 때 땔감으로 쓰는 그 장작 냄새가 난다. 

 

트림을 하니 과실의 향기가 콧구멍을 타고 나온다. 

 

20분 정도 에어링 한 후 다시 음미해 보았다. 

 

처음보다 알콜의 향이 코를 더 때리는 느낌이 든다. 

 

우디 함 보다는 쉐리(?)하다 라는 느낌이 더 들기 시작한다. 

 

혀에서 굴리니 단맛 뒤로 약간의 꽃향기가 피어나며 입안 전체에 스파이시함이 굉장히 많이 남는다. 

 

발베니 더블우드랑 느낌은 비슷한 거 같으나 풍미는 발베니 더블우드가 더 좋은 것 같다. 

 

빈 잔에선 확실하게 시트러스의 느낌이 90%를 차지하는 것 같다. 

 

 

니트로 마셔보았다. 

 

콧구멍으로 화장품 냄새 같은 게 약간 느껴진다. 

 

막 뽝! 이게 글렌피딕이다!라는 특징은 느껴지지 않는다. 

 

목 넘김은 좀 화한 편이고 달짝지근함 뒤로 포도 같은 과실의 향이 느껴진다. 

 

질감은 미끌미끌하다. 

 

처음 코르크에서 느껴졌던 시트러스함보다는 우디 한 향이 더 부각된다. 

 

 

다음 샷으로 마셔보았다. 

 

목넘김은 오일리 하다. 

 

장어 초밥을 먹고 마셨는지 모르겠지만, 단맛도 느껴지지 않고 특별한 향 아무것도 안 느껴진다...

 

얼음에 타 마셔 보았다. 

 

얼음에 타니 나무 계열보다는 시트러스 한 향이 더 느껴진다. 

 

목 넘김은 역시 오일리 하지만 특별한 코에 잔향은 시트러스함 보단 우디 한 느낌이 더 든다. 

 

그냥 부드러워진 글렌피딕이 됐다. 

 

입안 가득 술을 굴렸더니 입안 가득 알싸함이 살짝 느껴지고 끝 맛에 쓴맛이 감돈다. 

 

(반주할 때 좋을 듯)

 

 

집에 밀크티가 있길래 1:3 비율로 타 마셔보았다. 

 

첫 향은 밀크티인데 끝에서 쓴맛이 많이 올라온다.

 

처음엔 좀 거북했으나, 달달함과 홍차 향이 맴돌아 술술 들어가는 것이 작업주다..!!

 

 

오란씨에 1:3 비율로 타 마셔보았다. 

 

쓴맛 나는 오렌지를 갈아 마시는 느낌이다. 

 

마지막으로 함께한 안주를 투척하고 마무리를 지으려 한다. 

 

이마트 초밥은 그냥그냥 저렴한 맛에 좋은거 같다 ㅎㅎ

한줄평 : 주변에서 우와우와 한 술이었는데, 글쎄...

 

재구매 의사 : 없다.

오늘 리뷰할 위스키는 블렌디드 몰트 위스키의 한 종류인 몽키숄더이다. 

 

몽키숄더의 유래는 보리를 건조하는 사람들을 '몰트맨'이라고 하는데, 

 

이 몰트맨들이 작업을 하면서 어깨가 굽은 형상을 따 몽키숄더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몽키라고 하니 바나나향이 많이 날것 같다...

자 그럼 시음기로 들어가보자.

 

먼저 글랜케런 잔에 마셔 보았다. 

 

색은 밝은 갈색이다. 

 

첫 향에서 오렌지 향이 느껴진다. 

 

코를 찌르는 알콜은 심하지 않다. 

 

마셔 보았다. 

 

목 넘김은 부드럽고, 입안 전체로 끈적임이 전달된다. 

 

맛 역시 오렌지 껍질에서 나는 시터러스함이 퍼진다. 

 

입안 전체를 굴렸을 때 알싸함이 전해지며, 알콜의 톡 쏨이 코를 찌른다. 

 

굉장히 산뜻함이 입안 전체를 감돌며 목으로 넘어갔을 때 후끈함이 전달된다. 

 

입안 전체에 알싸함이 오래 남는 편이고, 끝에는 약간 쓴맛이 맴돈다. 

 

나중에 전달되는 향에선 바닐라의 향도 느껴진다. 

 

달달함보다는 시트러스한 향이 더 느껴지는 것 같다. 

 

하루가 더 지나고 다시 시음을 해 보았다. 

 

알콜 부즈가 더 올라오고, 단향도 이제 슬며시 느껴진다. 

 

맛은 처음 시음했을 때보다 훨씬 부드러워졌다. 

 

 

다음은 니트로 마셔보았다. 

 

잔에서 산뜻함이 올라온다. 

 

목 넘김은 부드럽고 알콜이 코를 빡! 한 대 때리고, 크리미함이 전해진다. 

 

시트러스함이 입안에 살짝 맴돌며 목에서 화함이 오래 남는다. 

 

 

온더락으로 마셔보았다. 

 

향에서 오렌지가 아주 살며시 올라온다. 

 

맛은 부드러워졌으나 쓴맛이 올라온다. 

 

 

마지막으로 샷으로 마셔보았다. 

 

목 넘김은 부드럽고 코에서 화함이 느껴진다. 

 

살짝 단맛이 입안에 맴돈다. 

 

 

한줄평 : 시터러스한 위스키가 뭔지 알게 해 준 녀석.

 

재구매 의사 : 없다.

오늘 리뷰는 싱글몰트 스카치 위스키에서 위상 높은 발베니를 마셔보았다. 

 

여러 제품이 있지만 이마트에 있길래 눈 감고 질러 버렸다. 

 

 

더블우드라고 해서, 일반 위스키 오크 캐스크와 쉐리 케스크 두 방식에 숙성되었다고 한다.

 

뭔가 버버리 같은 우아함이 느껴진다.

 

자 이제 시음기를 보도록 해보자.

 

뚜껑을 따 보았다.

 

코르크에선 젖은 다랑어포 냄새가 난다...

 

글랜케런잔에 따라 보았다. 

 

색감은 쉐리케스크에 있어서 그런지 약간의 진한 색감이 돈다. 

 

향에선 알콜부즈는 약하게 느껴지고, 약간의 단향과 버섯의 산뜻한 향이 난다. 

 

마셔보았다. 

 

목넘김은 약간의 톡쏨이 코를 쏘고, 뭔가 이제까지 느껴보지 못한 고소함이 목구멍을 치고 들어온다.

 

알콜의 느낌도 내장을 따라 흐르기 시작하며, 알싸함은 입안에 오래 남는 편이다. 

 

에어링이 조금 되니 나무향도 올라온다. 

 

혀에 굴렸을 때 특이하게 입안과 혀 전체에 알싸함은 전혀 없지만, 혀와 입천장에서 떫음이 느껴진다. 

 

좀 더 에어링 한 후에는 화장품 향도 느껴진다. 

 

입안에선 민트향도 남아있다. 

 

 

니트로 마셔보았다. 

 

주둥이가 넓어서 그런가 자세한 향이 느껴지지 않는다. 그냥 약간의 산뜻한 향정도?

 

마셔보았다. 

 

알콜 부즈는 전혀 없고, 혀에서 아주 미세한 알싸함만 있다. 

 

뚜렷한 향은 느껴지지 않는다. 

 

시간이 좀 지나니 사우나 나무 냄새가 느껴진다. 

 

그리고 약간의 시트러스함도 느껴진다. (트림을 하니 코에서 시트러스가 흘러나온다...)

 

 

 샷으로 마셔보았다. 

 

목넘김은 부드럽다. 

 

역시나 특별한 향은 느껴지지 않고, 약간의 마른나무 냄새만 날 뿐이다. 

 

 

약 10일 정도 지나고 다시 글랜케런에 마셔보았다. 

 

처음 이녀석 리뷰를 적었을 때 가격 대비 특별한 향이 느껴지지 않아 재구매 의사가 없었는데, 생각이 바뀐 시점이다. 

 

10일 정도 에어링 한 후 향에서 약간의 시큼한 향이 난다. 

 

그 뒤론 화장품 냄새와 단향과 빨간색 베리류의 과실 향이 느껴진다. 

 

쉐리 오크통에 담갔다고 하는데, 이런게 쉐리의 향인가 싶다. 

 

맛에선 굉장히 부드럽게 넘어간다. 

 

달달함 뒤에 꽃향이 피어나고, 그 뒤에 베리류의 향이 퍼지면서 알싸함이 혀 중간에 전달된다. 

 

잔 멀리서부터 코로 전달 되는 향에서 시나몬의 향기까지 느껴지기 시작한다. 

 

에어링된 발베니는 최고였다...

 

빈 잔에선 훈연된 향과 약간의 짭짤한 향이 느껴진다. 

 

 

한줄평 : 매우 부드러우나, 초반 러쉬하는 놈은 아닌 것 같다. 충분한 에어링후 다시 시음을 해보길 권한다. 

 

재구매 의사 : 있다.

오랜만에 술 리뷰를 쓰는 것 같다.

 

오랜만에 버번이 땡겨 이마트를 둘러보다 작은 병의 위스키를 발견해 구매해 보았다. 

 

처음에 뚜껑 어떻게 따나 당황 했지만 뭔가 '여길 뜯어줘'라고 하는 부분이 보여 뜯어보았다. 

 

뚜껑을 따자마자 시큼한 사과같은 향이 방 안 전체에 퍼지는 느낌이다. 

 

 

먼저 글랜케런에 따라보았다. 

 

색은 잩은 호박색이다. 

 

처음 알콜 부즈가 없다시피 느껴지다가 순간 차고 오르는 느낌이 있다. 

 

향에선 달달한 향이 난다.

 

마치 바나나에 꿀을 발라 놓은 듯한 달달한 향이 난다. 

 

나무 냄새도 살짝난다. 

 

사우나 나무 냄새가 아닌 나무를 베었을 때 거기서 나는 나무향이 난다. 

 

마셔보았다. 

 

처음 코를 0.5초 한방 때리고, 목과 입안 전체에 화함이 느껴진다. 화함이 오래간다. 

 

맛은 역시 달달함이 있다. 

 

목넘김은 살짝 미끌할 정도의 끈적임이 있다. 

 

후반으로 갈수록 밀크 초콜릿의 달달한 향과 미세한 스모키함이 올라온다. 

 

빈 잔의 글랜케런 잔에서 산딸기와 짭짤한 향도 느껴진다. 

 

 

니트로 마셔보았다. 

 

니트잔에서 나는 향은 달달함보다는 살짝의 본드 같은 느낌의 향이 난다. 

 

마셔보니 코를 훅 치고 올라오다가 코의 1/3까지 정도만 훅 치고 밑으로 거지는 느낌이다.

 

목 넘김은 부드럽고, 혀에서 살짝의 알싸함이 전달된다. 

 

윗 잇몸이 화함이 있지만, 목에서 화함은 거의 없는 편이다. 

 

후반으로 갈수록 본드의 향은 없어지고 바닐라의 달달함이 느껴진다. 

 

예전에 마셧던 발렌타인 파이니스트에서 나는 듯한 바닐라 향과 비슷하다. 

 

 

온더락으로 마셔보았다. 

 

알콜부즈는 전혀 없고, 달달이한 향만 올라온다. 

 

온더락으로 마시면 쨍한 느낌이 싫은데, 이것은 쨍한 느낌이 없다. 

 

달달한 물에 알콜을 타 놓은듯하게 부드럽고 맛이 괜찮다. 

 

시간이 지날 수록 맛이 묽어지는 게 위스키 전용 얼음통을 준비해야겟다. 

 

 

스트레이트로 마셔보았다. 

 

목넘김은 부드럽다. (에어링이 돼서 인 듯...)

 

아주 미세하게 목에 화함이 있다. 

 

달달함이 주를 이룬다. 

 

 

오랜만에 마신 위스키, 다시 이제 나의 빈 통장을 볼 날이 얼마 남지 않을 것 같다...

 

재구매 의사 : 있다.

 게임에서 보면 캐릭터 종족별로 공격력이나 방어력이 제각각이다. 

 

이런 캐릭터 클래스를 절차 지향부터 어떻게 전략 패턴을 활용하는지 살펴보자

 

게임상 캐릭터 종족에따라 방어력이 달라지는 코드를 예를 들어보면 다음처럼 if문을 통하면 될 거 같다.

 

if 문으로 방어력 구분

public class Character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private String type;

    public int defense() {
        if(type.equals("오크")) {
            this.defense = 100;
        } else if(type.equals("휴먼")) {
            this.defense = 50;
        } else if(type.equals("트롤")) {
            this.defense = 40;
        }
        return defense;
    }
}

 위 코드의 문제는 종족이 추가 될 때마다 if문 코드를 수정 삭제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코드가 절차 지향적이다. 문제가 있어 보여 캐릭터별 클래스를 만들면 어떨까 해서 적용해 봤다. 

 

개별적 클래스로 만들어 직접 의존하기

public class Ork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public int defense() {
        this.defense = 100;
        return defense;
    }
}

public class Human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public int defense() {
        this.defense = 50;
        return defense;
    }
}

public class Trol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public int defense() {
        this.defense = 40;
        return defense;
    }
}

이에 따른 Human 클래스는 다음과 같다.

public int defense() {
        if(type.equals("오크")) {
            Ork ork = new Ork();
            this.defense = ork.defense();
        } else if(type.equals("휴먼")) {
            Human human = new Human();
            this.defense = human.defense();
        } else if(type.equals("트롤")) {
            Trol trol = new Trol();
            this.defense = trol.defense();
        }
        return defense;
    }

 뭔가 코드가 바뀐거 같지만, 여전히 if문이 난무하고 의존을 클라이언트(Character)에서 직접 하고 있다. 여전히 종족이 추가되면 Character 클래스의 수정이 필수적이다. 

 

 아.. 어떻게 하지... 상속이란것도 배웠는데...!!

 

상속을 썻지만 직접 의존

 다형성의 객체지향 개념으로 상속이란 개념을 적용해 보는 코드를 살펴보자. 

// 종족 추상클래스
public abstract class Tribe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abstract int defense();
}

public class Ork extends Tribe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public int defense() {
        this.defense = 100;
        return defense;
    }
}

public class Human extends Tribe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public int defense() {
        this.defense = 50;
        return defense;
    }
}

public class Trol extends Tribe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public int defense() {
        this.defense = 40;
        return defense;
    }
}

Character 클래스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ublic int defense() {
        Tribe tribe = null;
        if(type.equals("오크")) {
            tribe = new Ork();
        } else if(type.equals("휴먼")) {
            tribe = new Human();
        } else if(type.equals("트롤")) {
            tribe = new Trol();
        }
        this.defense = tribe.defense();
        
        return defense;
    }

 뭔가 다형성까지 적용해 객체지향스러움을 자랑하고 싶지만 여전히 if문은 제거하지 못했다.... 이제 Stratey 패턴이 등장할 때가 왔다. 

 

 스트래태지 패턴의 원칙인 바뀌는 부분을 찾아 바뀌지 않는 것으로부터 분리시켜 캡슐화하는 것부터 해보자. 여기서 캡슐화란 객체가 해야 할 기능 중 일부를 별도의 그룹으로 뽑아서 캡슐화한다는 뜻이다. 내가 사용하는  스프링 IoC에서 스트레테지 패턴을 편하게 해 준다.

 변하는 부분은 Character 클래스에서 변하는 부분은 종족에 따른 방어력 부분이다. 이를 캡슐화시켜보자. 방어력 부분을 인터페이스로 만들고 이를 구현한 구체 클래스를 만들고 Character 클래스에서 이를 집약시키면 된다. 

public interface CharacterDefense {
    int defense();
}

public class Ork implements CharacterDefense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public int defense() {
        this.defense = 100;
        return defense;
    }
}

public class Human implements CharacterDefense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public int defense() {
        this.defense = 50;
        return defense;
    }
}

public class Trol implements CharacterDefense {
    private int attack;
    private int defense;

    public int defense() {
        this.defense = 40;
        return defense;
    }
}

 위 코드에 따른 Character 코드는 다음과 같다. 

public class Character {
    private int attack;
    private CharacterDefense characterDefense;

    public void setCharacterDefense(CharacterDefense characterDefense) {
        this.characterDefense = characterDefense;
    }

    public int defense() {
        return characterDefense.defense();
    }
}

 와우... 수많은 if문이 사라졌고, Character는 CharaterDefense의 구체적인 부분을 몰라도 된다. 즉 의존성도 확 줄었다. 종족이 추가된다면 Character 클래스는 바뀔 필요가 없어졌다. OCP도 만족한다. 

 

전략 패턴의 의도

 동일 계열의 알고리즘군(CharacterDefense)을 정의하고, 각 알고리즘을 캡슐화하여 이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만든다. 

 

활용성

 다음 상황에서 전략 패턴을 활용할 수 있다. 

  • 행동들이 조금씩 다를 뿐, 개념적으로 관련된 많은 클래스들이 존재할 때. 전략 패턴은 많은 행동 중 하나를 가진 클래스를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 알고리즘의 변형이 필요할 때
  • 사용자가 몰라야 하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있을 때.
  • 하나의 클래스가 수많은 행동을 정의하고, 이런 행동들이 클래스 안에서 수많은 분기분들로 이뤄졌을 때.

 

 전략 패턴은 실전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나 같은 경우에도 전 회사에서 상품 주제별 상품 리스트를 보여주는 서비스가 있었는데, 전략 패턴으로 많은 이득을 보았다. 그럼 이것으로 마무리를 지으려 한다.

 

위 코드는 하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github.com/jinioh88/design_pattern/tree/master/src/main/java/com/study/design_pattern/strategy 

오늘 리뷰할 전통주는 문배술23이다. 

 

 

한국 증류식 소주로 2018 남북 정상 회담 때 건배주로 쓰였다고 한다. 

 

본래 평양남도 평양에서 전해지다 1990년대부터 경기도 김포시에 증류소를 두고 있다고 한다. 

 

수수가 들어가서 그런지 고량주와도 향과 맛이 닮았다고 한다. 

 

그럼 바로 리뷰로 들어가보자. 

 

향에서 신향이 난다. 막걸리 누룩의 신선한 신 향이 난다. 

 

맛은 혀와 입안이 미끌미끌한 느낌이며, 신선한 향이 입안 가득 메운다. 

 

바디감은 풀바디마냥 걸쭉함이 전해진다. 

 

목 넘김은 부드럽고, 알콜의 향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잔에 원샷으로 마셔보았다. 걸쭉하게 목넘김이 좋다. 

 

코를 찌르는 정도는 아니지만 누룩의 향과 신맛이 코를 스무스하게 타고 올라온다. 

 

뒷맛은 처음과 같이 문배의 특별한 향이 계속 전해지며 아주 깔끔하고, 풍미가 있다. 

 

보통 소주는 계속 마시다 보면 질리는데, 질림이 전혀 없다. 

 

기름기 있는 곱창전골과 함께했다. 쿠팡에서 구매했는데 맛이 괜찮다. 

 

술이 걸쭉해서인지, 곱창전골의 느끼함이 가시지 않는다. 

 

문배주는 기름기 많은 음식 보단 깔끔한 안주가 더 어울리는 것 같다. 

 

재구매 의사 : 있다. 

오늘 리뷰할 전통주는 일품 소주21이다. 

 

 

우리 쌀과 지하 암반수로 만든 소주고, 오크통에서 한번 더 숙성시켜 블랜딩 한 소주라고 한다. 

 

보통 안동 소주는 고도수고 비싼 가격이 형성됐으나 대중화를 위해 도수를 낮춘 제품이 나왔다고 한다. 

 

알콜 냄새는 전혀 없고, 누룩의 향이 스무스하게 올라온다. 

 

목 넘김은 부드럽고, 미디엄 풀바디 정도 되는 질감이다. 

 

입안에 단맛이 감돌며, 목넘김이 부드러운 것 치고 내장안에 들어갔을 때 약간의 화함이 느껴진다. 

 

효모의 향이 굉장히 과일같이 상큼하게 입안에 오랫동안 맴돈다. 

 

샷잔으로 마셔보았다. 

 

목넘김은 부드러우며, 알콜이 살짝 느껴진다. 누룩의 향도 약간 느껴진다. 

 

그 향과 맛은 사케와 비슷하다. 

 

그럼 같이한 안주를 투척하고 마무리하려 한다. 

 

쿠팡에서 구매한 곱창전골과 매우 잘 어울린다.

 

재구매 의사 : 있다. 

오늘 리뷰할 술은 이강주19 이다. 

 

이강주는 조선 중엽부터 전라도와 황해도에서 제조되었던 3대 명주에 속하는 전통주다. 

 

중류식 소주에 속하는 줄 알았는데, 리큐르에 속한다. 

 

이강주를 해석하면, 배 이(梨), 생강 강(薑)을 따서, 배와 생강이 들어간 술이라고 한다. 

 

이마트에서 4천원 대에 구입하였다. 

 

그럼 바로 시음기에 들어가 보자. 

 

색은 완전 투명한 색이다. 

 

일반 소주의 알콜 역한 내는 나지 않는다. 

 

약간 더덕의 산틋함이라고 하기엔 그렇고, 누룩 정도의 산뜻한 향이 난다. (막걸리 누룩에 비하면 약한 편)

 

맛은 인위적인 단맛이 아닌, 흰밥을 씹었을 때 나는 단맛이 압안에 맴돈다. 

 

향도 역시 냄새를 맡았을 때의 향이 입안 전체를 감싸며 목 넘김은 부드럽다. 

 

피니쉬에서 살짝 알콜의 느낌이 나는데, 역하지 않았고 금방 사라지며 다시 산뜻한 향이 코를 타고 넘어온다. 

 

자세히 이 향을 느끼니 은은한 계피가 느껴졌는데, 원재료를 보니 계피가 들어간다고 나와 있다. 

 

원재료를 보고 마시니 더욱더 계피가 느껴진다. 

 

일반 소주잔에 원샷을 때려 보았다. 

 

목 넘김은 너무 부드럽다. 거의 라이트 바디에 가깝다. 

 

알콜의 역함은 전혀 없다. 

 

얼음에 타 마셔보았다. 

 

단맛은 줄고 쓴맛이 치고 올라온다...

 

그다음부턴 계속 소주잔에 마셔 보았다. 

 

배의 맛이 느껴진다고 하던데, 배를 찾아볼 수 없다. 

 

배향이라고 하면 이과두주의 그 배 향 밖에 경험이 없어서 그런가 잘 느껴지지 않는다. 

 

보이는 건 점점 부풀어져 가는 나의 술배일 뿐....

 

머릿속으로 어머니가 깎아주셨던 과거의 배를 계속 떠올려 보며 그 추억의 배 향을 상기시켜 본다. 

 

먹기 좋게 잘라진 그 배, 배 가운데 노르스름한 신맛 부분이 있는 잘린 배...

 

향기를 상기시키며 술을 계속 마셔보니 처음 딱 그 배의 신선한 향이 느껴진다. 

 

그 뒤로 바로 은은한 계피가 코를 때린다. 

 

배의 향은 찾았으므로 0.1% 들어간 생강을 찾으려 했지만,

 

이미 반 병 넘게 마신 상태라 원리보다 더 찾기 힘들어졌다. 

 

계속해서 마시니 알콜의 영향 때문인지 목에서 쨍하고 톡 쏘는 듯한 알싸함이 느껴진다. 

 

술이 질려지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안주로 한 새우를 인증하며 마무리하려 한다. 

 

대가리만 남았다...

 

한줄평 : 배, 계피, 꿀, 누룩 다양한 향을 찾아가며 즐길 수 있는 술.

 

재구매 의사 : 없다. 

 

+ Recent posts